예비군 관련 정보 모음
작성일:
소속 예비군 부대 확인
제가 소속된 예비군 부대가 궁금합니다. 어떻게 확인할 수 있나요?
본인의 소속 예비군부대는 인터넷 ‘예비군홈페이지’ 또는 모바일 ‘예비군 앱’ 로그인을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
예비군 훈련대상/유형
올해 병장으로 전역한 예비군입니다. 앞으로 받아야 할 예비군훈련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예비군훈련은 예비군 편성기간(8년) 중 1~6년차까지 부과되며,
1~4년차 중 동원지정자는 2박3일 동원훈련을, 동원미지정자는 동미참훈련 출·퇴근 4일(32H) 또는 2박3일을 이수하여야 합니다.
5~6년차 예비군의 경우 기본훈련(8H), 전·후반기 작계훈련(12H)을 이수하여야 합니다.
훈련일정 자율선택 절차
인터넷으로 훈련일정 자율선택을 신청하는 절차 및 방법은?
인터넷 훈련 신청절차는 ① 인터넷 예비군 홈페이지 접속(https://www.yebigun1.mil.kr) → ② 로그인(휴대폰 본인인증, 디지털원패스, 공동인증서, 아이핀) → ③ 훈련일정 자율선택을 "클릭"하여 훈련을 신청하시면 됩니다.
참고로 훈련일정 자율선택은 동미참(출·퇴근) 및 기본훈련과 작계훈련 3차(수임군부대장 판단 하 가능)만 훈련 신청이 가능합니다.
필요시 소속 예비군부대에 문의하시면 됩니다.
전국단위 훈련제도
주소지는 서울이나 실 거주지는 부산입니다. 부산에서 훈련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은 없나요?
전국단위 훈련을 신청하면 됩니다. 가까운 예비군중대 또는 예비군홈페이지(모바일 앱) ‘전국단위 훈련’에서 신청 가능합니다.
*신청가능 훈련 : 동미참훈련(출·퇴근), 기본훈련, 작계훈련 3차(수임군부대장 판단 하 가능)
휴일예비군 훈련제도
휴일에도 실시하는 예비군훈련이 있나요?
휴일 예비군훈련은 훈련장별로 일정을 수립하여 실시하고 있으며, 자세한 일정은 공지사항에 게시되어 있습니다.
휴일훈련은 1개월 전에 인터넷에 공지하고 신청을 받아 실시합니다.
*신청가능 훈련 : 동미참훈련(출·퇴근), 기본훈련, 작계훈련 3차(수임군부대장 판단 하 가능)
예비군훈련 입소시간
훈련 입소시간을 다소 넘겨 도착할 경우 어떻게 되나요?
훈련소집 통지상에 명시된 입소시간을 반드시 확인하여 입소하셔야 합니다.
입소시간을 넘길 경우 지연도착으로 처리되어 무단불참 됩니다.
단, 천재지변, 교통수단 고장 및 사고로 불가피 상황으로 지연도착한자(09:30분까지)는 훈련부대장의 판단하에 입소여부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예비군훈련 불참에 따른 불이익
예비군훈련을 불참하면 바로 고발되나요?
동원훈련의 경우에는 무단불참하게 되면 병역법에 따라 바로 고발됩니다.
이와 달리, 동미참·작계·기본훈련은 유형별로 1차, 2차를 무단불참할 경우 훈련 차수 증가 외에 불이익은 없습니다. 다만, 3차 훈련을 무단불참할 경우에는 예비군법에 따라 고발됩니다.
예비군훈련 연기사유
회사 업무로 예비군훈련을 연기할 수 있나요?
회사 업무로 인한 훈련연기는 주요업무수행 사유로 가능합니다. 다만, 주요업무수행은 횟수가 정해져 있으므로 소속 예비군부대 및 지방병무청에 문의바랍니다.
질병으로 인한 훈련면제 기준
현역시절 “디스크”란 병으로 수술을 받아 5급 판정을 받았습니다. 훈련 면제로 알고 있는데 가능한지요?
예비군대원이 질병 등으로 예비군복무를 감당할 수 없을 시, 병역법 제65조(병역처분 변경 등) 및 동법 시행령 제135조에 의거 거주지 지방병무청장에게 병역처분변경원서를 신청하여 지정된 신체검사 기관 및 군 병원에서 실시하는 신체검사 결과에 따라 전시근로역에 편입되거나 병역면제 처분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5급부터 6급까지 판정을 받으신분은 예비군훈련 면제가 가능하므로 병무청에 병역처분 변경을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예비군훈련 중 부상 시 치료 및 보상
예비군훈련 중에 넘어지면서 무릎 전방십자인대가 파열되는 부상을 입고 퇴소한 경우에 군의 치료 및 보상 지원은?
예비군이 훈련 중에 부상을 입으면 예비군법 제8조의2, 제9조에 따라 군병원을 포함하여 국가나 지방자치단체 의료시설에서 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예비군이 임의로 민간의료 시설에서 치료를 받게 되면 군에서는 치료비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아울러, 부상치료로 인해 생업에 종사하지 못한 경우에는 휴업보상금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